낙동강 하굿둑 개방하니 실뱀장어 상류로 몰려들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35년간 바닷물과 강물을 가로막았던 낙동강 하굿둑이 열리고 낙동강 생태계는 어떻게 변화했을까.
8일 부산대 생명과학과 주기재 교수팀에 따르면 낙동강 하굿둑 개방 이후 뱀장어 등 특이종의 개체수와 길이가 변화한 것이 확인됐다.
주 교수팀은 낙동강하구 기수생태계복원협의회와 공동으로 낙동강 하굿둑 개방 후 생태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약 5년간 매월 낙동강 생태계를 조사해왔다.
주 교수는 특히 국제 멸종위기종인 실뱀장어(새끼 뱀장어)의 낙동강 상류 이동에 주목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부산=연합뉴스) 손형주 기자 = 35년간 바닷물과 강물을 가로막았던 낙동강 하굿둑이 열리고 낙동강 생태계는 어떻게 변화했을까.
8일 부산대 생명과학과 주기재 교수팀에 따르면 낙동강 하굿둑 개방 이후 뱀장어 등 특이종의 개체수와 길이가 변화한 것이 확인됐다.
주 교수팀은 낙동강하구 기수생태계복원협의회와 공동으로 낙동강 하굿둑 개방 후 생태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약 5년간 매월 낙동강 생태계를 조사해왔다.
주 교수팀과 협의회는 환경부 조사가 계절별로 진행돼 생태계 환경 변화를 추적하기에 연속성이 부족하다고 판단하고 민간 조사팀을 꾸려 낙동강 생태계를 관찰하고 있다.
주 교수는 강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 형성 후 외래종의 분포 범위가 감소했고, 기수종의 분포 범위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또 하굿둑 상류에 생물 다양성이 많이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주 교수는 특히 국제 멸종위기종인 실뱀장어(새끼 뱀장어)의 낙동강 상류 이동에 주목했다.
대표적인 회유성 어종이자 경제적 가치가 높은 실뱀장어의 낙동강 상류 이동이 수문 개방 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주 교수는 "하굿둑 수문을 특정 회유성 어종(실뱀장어)의 생활사에 맞추어 조절해 줄 수 있다면 해당 종의 이동성을 많이 증가시킬 수 있어 어업 활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낙동강에 재도입 실험이 여러 차례 진행된 연어의 경우 현 조건에서 산란 확률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주 교수는 "연어가 상류로 올라가는 것까지는 확인되지만, 밀양 부근에서 보에 막혀 산란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주요 지천의 어류 이동 연결성이 확보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낙동강 하굿둑은 완공된 지 35년 만인 2022년 2월 열렸다.
10개의 수문 중 9번 수문을 음력 보름과 그믐 대조기에 하루 2~4시간 정도 연다. 대조기는 한 달에 두 번 바닷물 수위가 강물보다 높아지는 시기다.
열린 수문을 통해 강물보다 높은 수위의 바닷물이 낙동강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 기수역이 형성돼 생물 다양성이 높아졌다.
handbrother@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때아닌 눈인데 색깔도 낯설다?…수도권서 '검은 눈' 목격담 | 연합뉴스
- [르포] 최초 발화지 다시 가보니…버려진 라이터·그을린 흔적 | 연합뉴스
- "사랑해요" 사고 전날이 마지막…헬기 순직 조종사 아내 오열 | 연합뉴스
- [샷!] "불 번지는데 '17년지기' 혼자 둬 너무 불안" | 연합뉴스
- "내 딸 때렸어?" 아동 세워놓고 추궁한 30대…학대죄 될까 | 연합뉴스
- '종교 전도 받아 집 드나든 건데…' 스토커 몰린 60대 무죄 | 연합뉴스
- 배터리 불붙을라…기내 휴대폰 분실에 비행기 돌린 佛항공사 | 연합뉴스
- 아시아나 필리핀발 인천행, 기장이 여권 잃어버려 15시간 지연 | 연합뉴스
- 김동연, 文소환 통보에 "기가 찰 노릇…검찰, 누구에 충성하나" | 연합뉴스
- "산불감시원 퇴근 시간 다 알아"…대형산불에도 불법 소각 여전 | 연합뉴스